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hyunini.23 2025. 8. 15. 22:35
반응형

“5년 뒤 목돈 마련, 나도 할 수 있을까?”
요즘 청년들 사이에서 핫하게 떠오른 금융상품이 있습니다. 바로 청년도약계좌인데요.
정부가 직접 지원해주고, 은행 금리까지 얹어주며, 심지어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까지 주는 든든한 적금이죠.
그런데 이게 아무나 가입할 수 있는 건 아니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 글을 통해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을 하나하나 풀어보면서 “내가 가입 대상인지”, “얼마까지 받을 수 있는지”를 속 시원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읽고 나면 바로 은행 앱 켜서 신청하고 싶으실 거예요.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란?

간단히 말해, 정부+은행+나 셋이서 힘을 합쳐 매달 조금씩 돈을 모아 5년 뒤 목돈을 만들어주는 적금 상품입니다.
청년이 내는 돈과 정부가 지원하는 돈을 합쳐 다달이 최대 70만원(최대 월 40만원 정부지원)씩 연리 3.5%로 저축해 10년 후 1억원을 타갈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1억 만들기 통장’으로 정책금융삼풍 중 하나입니다.
초기엔 최대 금액 납입 시 10년간 1억을 모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고 밝혔으나 이후 매달 70만원 납입 시 5년간 최대 5,000만원을 모을 수 있게 변경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을 충족하여 매월 70만원씩 5년을 꾸준히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과 이자까지 더해져 최대 약 5천만원 안팎의 목돈이 만들어집니다.
특히 월소득이 낮을수록 정부지원금이 더 많이 붙어서 혜택이 커집니다.

- 가입기간 : 5년(60개월)
- 납입금액 : 월 1천원~최대 70만원
- 혜택 : 정부기여금, 은행금리, 이자소득 비과세
- 운영은행 : 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기업·부산·대구·광주·전북·경남은행 등

 

012345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가장 중요한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의 경우 아래와 같이 4가지는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① 나이 조건
- 가입일 기준 만 19세 이상~만 34세 이하
- 군 복무한 경우 복무 기간(최대 6년)만큼 나이에서 빼줍니다. 예를 들어 2년 복무했다면 만 36세까지 가입 가능!
💡 TIP : 나이 계산할 때 “만 나이” 기준이라 헷갈릴 수 있는데, 주민등록증 생년월일로 계산하면 쉽습니다.

② 개인소득 조건
- 직전 과세기간 총급여 7,5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과세표준 6,300만원 이하
- 직장인, 프리랜서, 자영업자 모두 해당되지만 소득 증빙이 가능해야 합니다.
- 만약 직전년도 소득 자료가 아직 확정 전이라면, 전전년도 소득으로 판단합니다.
💡 주의 : 비과세 소득이라도 군 장병 급여, 육아휴직급여 등 일부는 포함되니 은행 상담 시 꼭 확인하세요.

③ 가구소득 조건
- 가구 전체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여야 합니다.
- 가구원은 주민등록등본 기준으로 배우자, 부모, 자녀, 미성년 형제·자매 등이 포함됩니다.
- 예를 들어 2024년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250%는 약 6,685만원입니다. 가족이 많으면 기준 금액도 더 높아지죠.

④ 금융소득 과세 이력
-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한 번이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었다면 가입 불가합니다.
- 금융소득이란 예금·적금 이자, 주식 배당금 등을 말하며, 연 2천만원 초과 시 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0123456

가입요건

- 가입 기간 : 2023년 6월 15일 ~ 2025년 12월 31일
- 가입 절차 :
① 가입하려는 은행 앱 등을 이용하여 비대면으로 정부에 신청
② 서민금융진흥원의 가입대상 적격통보를 받아야 함. 부적격 통보시 가입 불가
③ 계좌 개설 기간에 맞추어 해당 은행에서 가입. 대면/비대면 모두 가능

 

신청 방법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을 모두 충족한다면 대부분 비대면으로 가입 가능합니다.
- 은행 앱에서 본인 인증 → 조건 입력 → 소득·가구정보 확인 → 가입 심사 순으로 진행됩니다.
- 심사는 보통 1~2주 정도 걸리고, 승인되면 바로 계좌 개설 안내를 받습니다.
- 참여 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농협, 기업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012345678

가입 전 꼭 알아두면 좋은 팁

- 월 납입액은 자유롭게 조절 가능
상황에 따라 최소 1천원만 넣을 수도, 최대 70만원까지 납입할 수도 있습니다.

- 중도해지 시 혜택 제한
5년 만기 전에 해지하면 정부기여금은 못 받을 수 있습니다.

- 우대금리 혜택
청년·저소득층·사회초년생 대상 우대금리를 챙기면 이자가 꽤 쏠쏠합니다.

- 자동이체 추천
매달 자동이체 걸어두면 납입일을 놓치지 않아 안정적으로 모을 수 있어요.

 

마무리하며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만 충족하면 무조건 만들자!

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적금이 아니라, 정부가 함께 저축해주는 든든한 파트너 같은 상품입니다.
가입 조건만 충족하면 혜택이 정말 크고, 5년이라는 시간이 지나면 “와, 내가 이렇게 모았어?” 하는 기쁨을 느끼실 수 있을 거예요.
혹시 내가 조건에 맞는지 헷갈린다면, 가까운 은행 앱에서 ‘청년도약계좌 가입 가능 여부’를 간단히 조회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5년 후의 나를 위해, 오늘 당장 준비해보세요!

 

01234

반응형